미국에서 가장 많이 쓰는 4가지(AR, SR, Lexile, GRL) 지수에 대해서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1. AR: 숫자가 학년을 의미하기 때문에 가장 편하게 이해할 수 있는 수치 (ex. AR3.2: 3학년2개월 수준의 책)
2. SR: AR과 같은 시스템으로(같은 회사) 책의 레벨이 아닌 학생의 레벨. (ex. SR3.2: 3학년2개월 수준의 학생)
3. Lexile: 0(BR)에서 2000L까지 100단위로 수치화 되어 있으며, 학교뿐 아니라 출판사, 각종 시험(토플, SAT), 정부기관의 영문자료에 활용. (ex. 주니비존스 380L, 해리포터 940L , 미국헌법 1560L)
4. GRL은 주로 초등학교에서 많이 사용하는 지수로, 1학년-6학년을 A부터 Z로 나눠짐. 라즈키즈나 스콜라틱스 같이 초등학생들의 글읽기 연습 프로그램에서 많이 활용.
독서지수는 수준에 맞는 책을 고르기 위한 기본적인 기준입니다. 하지만, 미국 학생 기준이고, 책의 장르나 배경 지식, 삽화의 비율, 저자의 문체나 챕터의 길이, 주인공의 나이 등에 따라 더 쉽게 느껴지기도하고, 더 어렵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각각의 자세한 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1. AR(Accelerated Reader)지수
AR지수는 미국 '르네상스 러닝(Renaissance Learning, Inc)'에서 10만여권의 도서를 분석하고 3만여 명의 학생을 분석하여 만든 과학적 지수로 K에서부터 13까지 총 14단계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K 레벨”은 Kindegarten 즉 유치원 수준에 맞는 서적이고, 나머지 “1-13”까지는 미국 현지 학년에 맞는 레벨입니다.
검색창에 .책 제목을 입력하면 AR레벨 지수를 보여줍니다.
www.arbookfind.com/default.aspx
Accelerated Reader Bookfinder US - Welcome
www.arbookfind.com
관련 용어를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IL (Interest Level): 책의 주제, 구성, 기술 방법에 따라 정해지며, 학년에 따라 3단계로 나뉩니다. 나이와 학년을 고려한 적절성 레벨 지수로 책의 주제와 내용이 k-12학년 범위 안에서 인지레벨과 잘 맞는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 LG = Lower Grades (K-3)
· MG = Middle Grades (4-8)
· MG+ = Upper Middle Grades (6 and up): 대부분의 MG+ 책들은 YA(Young Adult) 라고 표시되기도 합니다.
· UP = Upper Grades (9-12)
BL (Book Level): 글의 난이도를 측정한 레벨 지수로 (0.1-13.5로 구성되며, 숫자가 높을 수록 어려운 책을 의미합니다.)
BL이 4.2라면 4학년 2개월 정도의 아이들이 스스로 읽고 이해하는 난이도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AR Pts: 책을 일고 문제를 풀어서 받는 점수로 보통 책의 글밥이나 두께에 비례합니다.
Advanced Search 기능을 통해, 특정한 Interest Level, Book Level, 주제와 토픽으로 한정하거나 Lexile 지수 병행표기 여부도 선택하여 검색할 수 있고, Collections 검색 기능을 통해, <수상작>, <미국 State별 추천 도서>, <한 해 동안 아이들이 가장 많이 읽은 도서> 리스트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Textbooks 검색을 활용하여, 미국 학교에서 쓰는 주요 출판사의 교과서를 검색할 수도 있습니다.
도서를 클릭하면 해당 도서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함께 단어의수(Word Count), 장르(픽션/논픽션), 수상 내역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SR(STAR Reading)"이란
“SR”은 “STAR Reading”의 약자로, AR을 만든 미국 르네상스 러닝에서 학생들의 독서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만든 시스템입니다. “AR”이 책에 매겨지는 점수라고 한다면, “SR”은 학생에게 매겨지는 점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STAR Reading 프로그램을 통해 나온 결과 중 "G.E" 지수가 "SR" 점수이고, 이 "SR" 점수를 가지고, 학생에게 맞는 책을 “AR” 지수와 비교하여 책을 선정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서, SR 점수가 5라고 한다면, 미국 공립학교 기준으로 5학년 수준의 읽기 능력을 갖고 있으므로 AR 5점 대의 책을 골라 읽으면 됩니다.
즉, AR(Accelerated Reader)= ATOS지수= SR(STAR Reading) 입니다.
렉사일(LEXILE) 지수
Lexile(렉사일) 지수는 미국의 교육 연구기관인 MetaMetrics® (메타메트릭스)사에서 30년에 걸쳐 5만권의 책의 난이도를 연구하여 개발한 독서 수준 지표로서, 독자의 읽기 능력을 측정하는 렉사일 독서지수(Lexile reader measure)와 영어 도서의 난이도를 나타내는 렉사일 도서지수(Lexile text measure) 두가지로 나뉩니다. 즉, 영어책의 텍스트 난이도와 독자의 리딩 레벨을 측정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수준에 맞는 도서를 효과적으로 골라서 읽을 수 있도록 만든 수치입니다.
지수는 문장의 길이를 포함한 다양한 구성요소를 평가하는 소프트웨어로 문장의 난이도를 측정하여 BR(Beginning Reader)에서 2000L까지 100단위로 수치화되어 있습니다. 보통 유아와 같은 초보자를 위한 책에는 0L, 1학년이 300L 정도이고, 12학년(고3)은 1000L-1700L 정도가 됩니다.
렉사일 지수를 개발한 맬버트 스미스(Malbert Smith) CEO 에 따르면 ”영어 독서능력 향상에 가장 효과적인 건 전체 내용 중 이해되는 분량이 75% 안팎인 수준의 책”이라고 합니다. 이해도가 해당도서의 75% 이하이면 어려워 학습자가 힘들어하고, 반대로 75% 이상이면 쉬워서 재미없어 책에 흥미를 잃는다는 것입니다. 500L점을 받은 학생이 500L 수준의 추천도서들을 읽으면, 약 75%는 이해하면서 무리 없이 읽을 수 있고, 본인의 지수에서 -100L ~ +50L 에 해당되는 범위의 책을 골라읽으면 흥미롭게 볼 수 있다고 합니다.
해당 책의 렉사일 코드는 아래 사이트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https://hub.lexile.com/find-a-book/search
렉사일코드
렉사일 지수 앞에 2자리의 영문이 붙는데 이것을 렉사일 코드라고 합니다. (ex. NC650L)
AD(Adult Directed: 어른의 지도가 필요한책): 학생들이 혼자 읽기보다 어른이 소리내어 읽어주는 것이 더 좋은 책으로 대부분의 그림책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NC(Non-Conforming: 출판사의 대상과 독자가 불일치): 출판사의 의도된 독자수준보다 높은 Lexile 지수를 가지는 도서로 독서능력이 높은 독자들에게 적합한 도서입니다.
HI(High-Low: 책의 수준과 독자의 수준이 벌어진 책): 의도된 독자층의 평균적인 읽기 수준보다 Lexile지수가 낮게 측정되는 도서로, 높은 흥미 수준의 내용을 포함하나, 문장은 쉽게 쓰여진 도서, 덜 복잡하고 낮은 문서입니다. 독서 능력이 낮은 독자들에게 적합한 도서입니다.
IG(Illustrated Guide: 삽화가 주가 된 도서): 이야기 구성이 아닌 독립적인 문장으로 구성된 도서로 백과사전이나 용어 해설집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GN(Graphic Nove: 만화 형식): 그래픽 노블(만화 형태로 된 소설)이나 만화책입니다.
BR(Beginning Reader: 초보자를 위한 도서): LEXILE 지수가 0L이하의 도서로 읽기를 시작하는 유아나 초보자들을 위한 책으로 숫자없이 BR로만 표시합니다.
NP(Non-Prose 비산문) 시집, 희극, 노래모음집, 요리책과 같이 일반적인 문장 기준과 일치하지 않는 도서로 렉사일 지수를 갖지 않습니다.
렉사일은 미국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고 있는 국가공인 독서평가 프로그램으로 학교 뿐 아니라, 출판사, 공공 기관등 여러 기관에서 렉사일 지수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업체로는 세계 최대의 출판사인 피어슨(Pearson)을 비롯하여, 맥그로우힐(Mc Graw Hill), 스콜라스틱(Scholastic), 호그톤 미핀(Houghton Miffin), ETS의 토플(TOEFL Ibt test, TOEFL Junior), 캡스톤(Capstone)의 myON 등이 있습니다.
본인의 렉사일 지수를 알아보려면
1. ETS사의 TOEFL과 TOEFL Junior: www.toefljunior.or.kr
2. SRI(Scholastic Reading Inventory): http://book.interpark.com/down/SRI_Info.pdf
3. 낱말사의 E-LQ 평가: https://natmal.com/?banner=1
* 다음은 렉사일과 AR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표입니다.
GRL(Guided Reading Levels) 지수
그리고 마지막으로 미국 초등학교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GRL(Guided Reading Level)입니다.
90년대 Fountas와 Pinnell 두 명의 학자들에 의해 개발된 영문 리딩 분석 툴으로, 텍스트의 난이도에 따라 알파벳 A부터 Z+까지 레벨 구간을 나눠서 도서 레벨을 부여하는 방식입니다. A가 가장 쉬운 단계이며 뒤로 갈수록 어렵습니다. 위의 두 학자가 개발했기 때문에 Fountas & Pinnell Text Level(F&P Text Level Gradient™)이라고도 부르고 있습니다
GRL은 글의 내용과 길이 같이 단순한 지수가 아니라 글을 읽는 데 도움이 되는 매개 변수 (단어 수, 단어의 다양성, 빈도가 높은 단어 수, 문장 길이, 문장 복잡도, 단어 반복, 일러스트레이션 지원 등) 까지 고려한 입체적인 지수로 주로 교사적 관점에서 도서를 포함한 교재 및 영문 텍스트를 학생에게 배정하기 위한 기준으로 제시됩니다.
스콜라틱스(Scholastic Book Wizard) 나 라즈키즈(Raz-Kids)에서 제공하는 GRL이 이것입니다. 두 개의 레벨이 완벽하게 일치하지는 않지만 참고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가깝습니다.
* 다음은 F&P Text Level Gradient™ 레벨과 AR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표입니다. 각각의 홈페이지에 게시되어있는 표입니다.
.